“긴급한 순간, 혼자라면?”
혼자 사는 어르신이나 장애인 가구는 응급상황에서 대처가 어렵습니다. 실제로 집 안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아무런 조치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요.
정부에서는 독거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‘응급안전 안심서비스’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신청 대상, 서비스 내용, 신청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✅ 독거노인·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란?
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혼자 거주하거나 보호가 필요한 어르신과 장애인이 응급상황을 인지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국가 서비스입니다.
지역사회 내 예방적 돌봄 체계를 마련해, 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자 운영되고 있습니다.
🎯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?
다음 중 상시 보호가 필요한 가구라면 신청 가능합니다:
- 독거노인: 실제로 혼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
- 노인 2인가구: 65세 이상 노인 2인 가구 중 질환자·75세 이상
- 조손가구: 65세 이상 조부모와 24세 이하 손자녀로만 구성된 가구
- 장애인 가구: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이면서 독거 또는 취약가구
⚠ 단, 이미 24시간 활동지원을 받고 있다면 신청이 제한됩니다.
🔧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?
- 응급상황 감지 시스템 설치
화재 감지기, 활동 센서, 응급호출기 등 집 안에 설치해 긴급 상황을 자동 감지 - 비정기적 안전확인
돌봄 인력이 전화 또는 직접 방문하여 정기 안부 확인 - 응급상황 발생 시 즉각 조치
호출 시 구조 요청 및 병원 연계 - 생활교육 및 사용법 안내
장비 점검과 올바른 사용법 교육도 함께 진행
📝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신청처:
- 가까운 읍/면/동 주민센터
- 지역센터 및 수행기관
처리절차:
- 주민센터 또는 수행기관 방문하여 서비스 신청
- 시군구에서 조사 및 심사
- 대상자 최종 선정
- 서비스 장비 설치 및 지원 개시
- 지속적인 사후 관리
📞 문의처 및 참고사이트
-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례관리정보부: ☎ 02-6360-5497
- 보건복지부 콜센터: ☎ 129
- 신청 및 정보 확인 사이트
👉 한국사회보장정보원
https://biz.dcare.go.kr
biz.dcare.go.kr
👉 보건복지부 129
보건복지상담센터
국번없이 129, 긴급복지, 복지지원, 자살, 알콜중독 등 복지 상담 서비스 제공
www.129.go.kr
🔚 마무리: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
“갑작스러운 상황, 미리 준비하면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.”
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단순한 장비 설치가 아닙니다. 실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생명망입니다.
부모님이나 주변의 어르신, 보호가 필요한 이웃이 계시다면 지금 바로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