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내가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나?”
“2025년 기준으로 생계급여 얼마까지 나올까?”
이런 궁금증이 있으셨다면, 이 글을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.
1. 생계급여란?
- 생계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중 가장 기초적인 생계비 지원 제도입니다.
- 정부가 저소득층에 매월 현금 형태로 지원하며, 의료·주거·교육급여까지 연계 가능합니다.
2. 2025년 기준 중위소득 vs. 선정 기준
-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전년 대비 6.42% 상승했습니다.
- 4인 가구는 572만 9,913원 → 609만 7,773원으로 상승
- 급여별 선정 기준 비율: 생계 32%, 의료 40%, 주거 48%, 교육 50%
✅ 생계급여 선정 기준 (소득인정액 기준)
가구원수 | 2024년 | 2025년 | 증가액 |
1인 | 713,102원 | 765,444원 | +52,342원 |
2인 | 1,178,435원 | 1,258,451원 | +80,016원 |
3인 | 1,508,690원 | 1,608,113원 | +99,423원 |
4인 | 1,833,572원 | 1,951,287원 | +117,715원 |
3. 생계급여 자격
① 소득 기준
- 소득인정액이 ‘소득기준액(위 표)’ 이하인 경우 자격 충족
- 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(근로소득 등 – 공제) + 재산의 소득환산액
② 재산 기준
- 부동산·차량·금융자산 포함,
- 자동차 기준 완화: 2,000cc 미만·500만 원 미만 차량은 재산 환산율 4.17%만 인정
③ 부양의무자 기준
- 2025년 기준 연소득 1.3억 또는 자산 12억 초과인 경우 생계급여 탈락
- 근로소득 공제 확대: 65세 이상 노인에게도 추가 공제 적용
④ 가구(지원 단위)
- 1인 가구부터 부부, 부모-자녀, 동거인 포함한 생계별 가구 단위로 평가됨.
4. 생계급여 금액 계산법
생계급여 = 생계급여 기준액(가구별 선정 기준액) – 소득인정액
예시:
- 4인 가구 기준액 1,951,287원
- 소득인정액 1,200,000원 → 월 751,287원 지급
5. 추가 지원: 긴급생계급여
- 신청 전 소득증명 처리 전이라도, 긴급한 상황 시 직권 지원
- 15% 기준중위소득의 금액 지급 (1인 기준 약 358,802원)
6. 신청방법 & 서류 준비
📍 신청처
- 복지로(www.bokjiro.go.kr)
- 읍·면·동 주민센터
🛠 준비서류
- 신청서, 신분증, 통장사본
- 급여명세서, 사업소득 내역 등 소득/재산 증빙 자료
🔄 절차
- 서류 제출
- 현장 조사(가구·소득·재산)
- 심사 → 결정
- 신청한 달부터 지급 시작
- 처리 기간 15~30일 소요
7. 수급 후 주의사항
- 소득/재산 변동 즉시 신고 (미신고 시 환수 또는 중단 가능)
- 근로능력자 자활 참여 의무
- 부양의무자 생계비용 동시 고려
- 다른 복지와 중복 수급 가능 (의료·주거급여 등 자동 연계)
8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“부모님 연소득은 기준 넘는데 우리만 받을 수 있나요?”
가구 분리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. 주민센터 상담 권장.
Q2. “기초연금이나 실업급여를 받으면 얼마나 깎이나요?”
소득인정액 산입 대상이라 전체 금액 감소할 수 있습니다.
Q3. “신청 후 얼마나 빨리 받을 수 있나요?”
평균 2~4주, 긴급급여는 일부 즉시·단기 지원도 가능합니다.
9. 2025년 달라진 점 요약
- 중위소득 최대 인상(6.42%) → 대상 확대
-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및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
- 65세 이상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
- 온라인 신청 및 디지털 서류 확대
10. 정리 요약
- 자격 요건 = 소득기준액 이하, 재산 기준 충족, 부양의무조건 통과
- 금액 계산 = 기준액 – 인정소득
- 지원 범위 = 생계 + 의료, 주거, 교육, 긴급 생계
- 변경 사항 = 기준액 인상, 자산·부양 기준 완화
- 신청 절차 =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능 (처리 15~30일)
✔️ “내 가구 생계급여 대상 될까?”
✔️ “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?”
궁금하다면 지금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 & 신청하세요!
함께 보면 좋은 글
의료급여 신청 방법과 대상자 자격
우리 사회의 복지제도 중 하나로 국가가 저소득층의 의료비를 지원하는 제도가 바로 의료급여입니다. 특히 의료비 부담이 큰 40~60대 계층이나 고령층, 그리고 취약계층에게 꼭 필요한 정보인데
dajunginfo.com